아래 Lacid 님이 쓴 상퀼로트 콤보에 대해 상황별로 소개가 되어 있는 일본 공략 자료입니다.
2. 앉아 약발 시동 콤보의 루트에 포함된 "상퀼로트 루트 1"은 1. 상퀼로트 기본 루트의 모든 내용을 포함합니다.
https://goziline.com/archives/50396
1. 상퀼로트 기본 루트
루트 1) 13칸 (트레이닝 스테이지 전체 32칸 중)
상퀼로트>(끌어당기기)강 니보즈(1타째) (캔슬) 4B(헛치기)>6D (캔슬) 강 제르미날>6D (캔슬) 강 제르미날 (캔슬) 6D(헛치기)>6D (캔슬) 약 제르미날 (캔슬) 4B(헛치기)>(구석 도달)4D (캔슬) 강 니보즈(1타째) (캔슬) 6D(헛치기)>4D (캔슬) (상퀼로트끊기)강 방토즈×3~추가타
상퀼로트 루트만 따로 추려낸 기본 루트. 좀 떨어져 있어도 이걸 쓰면 문제 없으며 중요한 포인트는 강 니보즈 사용 시 끌어당기기 정도. 1,2,3 모두 “4D (캔슬) 강 니보즈(1타째) (캔슬) 6D(헛치기)” 부분이 상당히 빡빡하므로 입력은 4D>17D>6D로 하는 걸 추천.
덩치 캐릭터 (맥시마, 하이데른, 안토노프)는 마지막의 강 방토즈×3이 안 들어가므로 약 방토즈>강 방토즈×2로 할 것.
루트2) 16칸
상퀼로트>6D (캔슬) 강 제르미날>6D(헛치기)>6D (캔슬) 약 제르미날 (캔슬) 4B(헛치기)>6D (캔슬) 강 제르미날 (캔슬) 6D(헛치기)>6D (캔슬) 약 제르미날 (캔슬) 4B(헛치기)>(구석 도달)4D (캔슬) 강 니보즈(1타째) (캔슬) 6D(헛치기)>4D> (캔슬) (상퀼로트끊기)강 방토즈×3~추가타
상퀼로트 부분만 따로 추려낸 기본 루트. 루트 1)보다도 상대를 더 옮긴다. 저공 상퀼로트를 맞추면서 최속으로 이어나가야 타이밍이 맞으니 주의.
덩치 캐릭터 (맥시마, 하이데른, 안토노프)는 마지막의 강 방토즈×3이 안 들어가므로 약 방토즈>강 방토즈×2로 할 것.
루트 3) 사용자가 구석에 몰렸을 때
상퀼로트>4D (캔슬) 강 제르미날 (캔슬) 4B(헛치기)>(뒤돌기)강 니보즈(1타째) (캔슬) 4B(헛치기)>6D (캔슬) 강 제르미날 (캔슬) 6D(헛치기)>6D (캔슬) 약 제르미날 (캔슬) 4B(헛치기)>(구석 도달)4D (캔슬) 강 니보즈(1타째) (캔슬) 6D(헛치기)>4D (캔슬) (상퀼로트끊기)강 방토즈×3~추가타
위치를 바꿔서 등뒤에서 6칸 정도 옮겨가는 콤보. 수세에 몰렸을 때 이 루트를 사용해보자. 가장 처음의 6d는 끌어당기는 식으로 쓸 것. 덩치 캐릭터 (맥시마, 하이데른, 안토노프)는 마지막의 강 방토즈×3이 안 들어가므로 약 방토즈>강 방토즈×2로 할 것.
루트4) 위치 무관
상퀼로트>6D (캔슬) 강 제르미날> (캔슬) 6D(헛치기)>6D (캔슬) 약 제르미날 (캔슬) 4D(헛치기)>강 니보즈(1타째) (캔슬) 4B(헛치기)6D (캔슬) 강 제르미날>강 니보즈(1타째) (캔슬) 4B(헛치기)>약 제르미날 (캔슬) 4D (캔슬) (상퀼로트끊기)강 방토즈>강 제르미날>4D>4D~추가타
리턴은 가장 적지만 어느 위치에서든 구석으로 몰고 갈 수 있는 콤보. 다른 루트로는 구석까지 가지 못할 경우 쓰자. 주로 대공 등으로 히트시켰을 때 쓸 수 있는 콤보. 마짐가의 약 제르미날 단계에서 구석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강 방토즈는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생략한다. 맨처음의 강 제르미날 시점에서 화면 구석이 등뒤 쪽에 가까워졌을 경우 뒤돌기 루트로 변경하여 처음의 6D (캔슬) 강 제르미날을4D (캔슬) 강 제르미날 (캔슬) 4B(헛치기)>(뒤돌기)로 바꾼다. 이후 절대로 실수하지 않을 정도로 콤보 루트를 타협해서 쓸 것.
루트 5) 상대가 구석일 경우
상퀼로트>(끌어당기기)강 니보즈(1타째) (캔슬) 4D (캔슬) 강 제르미날 (캔슬) 4D(헛치기)>강 제르미날 (캔슬) 4D (캔슬) 강 제르미날 (캔슬) 4D(헛치기)>강 제르미날 (캔슬) 4D (캔슬) 약 제르미날 (캔슬) 6D(헛치기)>4D (캔슬) 강 니보즈(1타째) (캔슬) 6D(헛치기)>4D (캔슬) (상퀼로트끊기)강 방토즈×3~추가타
상퀼로트를 썼을 시점에서 상대가 완전히 구석에 있을 때의 콤보. 콤보 데미지가 가장 높으며 스턴 콤보도 노릴 수 있다.
2. 상퀼로트 포함한 2B (앉아 약발) 시동 콤보
루트 1) 19칸 / 3.7 게이지 / 절명
2B (캔슬) 4B (캔슬) MAX발동>근강발 (캔슬) 셔터 스트라이크>원강손 (캔슬) 강 제르미날>강 니보즈(1타째) (캔슬) 상퀼로트>(루트 ①)~ (캔슬) 테르미도르>강 방토즈×3>(끌어당기기)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강 니보즈~(스턴) ~ 스턴 콤보
상대를 구석으로 끌고 가는 성능은 보통이지만 비교적 안정감이 있는 콤보.
4D > 강 니보즈는 바로 바로 모으기 해서 쓴다. 덩치 캐릭터 (맥시마, 하이데른, 안토노프, 야마자키)는 테르미도르>강 방토즈×3가 안 들어가므로 상퀼로트 루트 ① 이후, 강 니보즈(1타째) (캔슬) 테르미도르>강 방토즈>강 제르미날>4D>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강 니보즈~(스턴) 콤보로 이어나가자.
루트 2) 24칸 / 3.7 게이지 / 절명
2B (캔슬) 4B (캔슬) MAX발동>근강발 (캔슬) (약간 딜레이)셔터 스트라이크>(길게)대쉬>2A (캔슬) 4B>2A>2B (캔슬) 약 제르미날 (캔슬) 상퀼로트(루트 ②)~ (캔슬) 테르미도르>강 방토즈×3>(끌어당기기)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강 니보즈~(스턴)~스턴 콤보
상대를 구석으로 몰고가서 스턴을 노릴 수 있는 콤보. 앞선 루트보다 5칸 정도 더 옮긴다.
근강발에서 셔터 스트라이크로 이어지는 부분은 딜레이를 주면 상대와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그 이후는 대쉬 2A (캔슬) 4B까지, 상대와의 거리를 확인하고 가까운 경우 위의 콤보대로 할 것. 거리가 좀 멀 경우 2b를 생략하고 바로 약 제르미날로 이어나가자. 이 때 스턴치가 약간 모자랄 수 있으므로 상퀼로트(루트 ②)이후, (끌어당기기)강 니보즈(1타째) (캔슬) 테르미도르>강 방토즈>강 제르미날>4D>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강 니보즈~(스턴)~스턴 콤보로 이어나갈 수 있다.
루트 3) 위치 무관 / 3.7 게이지 / 절명
2B×2 (캔슬) 4B (캔슬) MAX발동>근강발 (캔슬) 4B>2A (캔슬) 약 제르미날 (캔슬) 플뤼비오즈 (캔슬) 상퀼로트(루트 ①)~(끌어당기기)강 니보즈(1타째) (캔슬) 테르미도르>강 방토즈>강 제르미날>4D>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강 니보즈~(스턴)~스턴 콤보
구석을 등지고도 2B×2 시동으로 스턴이 가능한 콤보. 2B 한대로는 스턴치가 모자란다. 위의 2가지 콤보로부족할 때 노려보자. MAX 발동 후 근강발은 되도록 약간 접근해서 쓸 것. (타이밍이 좀 빡빡하다.)
루트4) 위치 무관 / 4.6 게이지 / 절명
2B (캔슬) 4B (캔슬) MAX발동>근약발 (캔슬) 4B>2A (캔슬) 약 제르미날 (캔슬) 플뤼비오즈 (캔슬) 상퀼로트(루트 ①)>4D (캔슬) MAX발동>강 제르미날>4D>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약 니보즈(1타째) (캔슬) 테르미도르>강 제르미날>4D>강 니보즈~(스턴)~스턴 콤보
2B 한대 시동으로 게이지를 최대로 써서 절명낼 수 있는 콤보. 어려운 부분은 대쉬 모으기 근강발을 근약발로 바꾸면 간단해진다. Ex 제니 →약 방토즈 부분은 생략할 경우, 데미지 는 170.
--------------
스턴 이후 콤보 :
루트 1: 1게이지/ 스턴치 보정 포함하여 197 데미지
(스턴)>백스텝>약 제니>지상 CD (캔슬) 약 방토즈>2C (캔슬) EX 제니>약 방토즈>강 제르미날>4D>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강 니보즈
스턴 이후 전용 콤보. 아래 콤보보다 데미지는 약간 낮지만 더 안정적이다.
루트 2 : 1게이지 / 스턴치 보정 포함하여 207 데미지
(스턴)>백스텝 >약 제니>지상 CD (캔슬) 약 방토즈>2C (캔슬) 강 제르미날>4D>약 니보즈(1타째) (캔슬) 테르미도르>강 제르미날>4D>강 니보즈
스턴 이후 전용 콤보. 데미지는 높지만 약간 더 어렵다.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경우가 있다.
----------------
3. 가성비나 기타 상퀼로트 시동 콤보
루트 1: 위치 무관 / 1.5 게이지 / 데미지 396
2B×2 [캔슬] EX 제르미날>강 니보즈(1타째) [캔슬] 테르미도르>강 제르미날>강 니보즈
가성비로 상대를 쓰러뜨리고 싶을 때 쓰는 콤보. 제르미날 콤보는 될 수 있으면 3번 싸움에서 쓸 것. 역가드에서 시동할 경우, 점프 강발 > 근강발 [캔슬] 4B>2A [캔슬] EX 제르미날로 이어나가자.
루트 2 : 상대가 구석일 때 / 1.5 게이지 / 데미지 449
2B×1~3 [캔슬] 약 니보즈(1타째) [캔슬] 테르미도르>강 제르미날>4D>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강 니보즈
루트 3-1 : 위치 무관 / 1.5 게이지 / 데미지 438
(공중 히트)약 제르미날>EX 제르미날(노멀 딜레이 EX버전)>2D(공캔)~약 니보즈(1타째) [캔슬] 테르미도르>강 제르미날>강 니보즈
약 제르미날을 공중 히트시켰을 때 쓸 수 있는 콤보. EX 제르미날은 노멀 버전의 딜레이 EX 버전 (유예 2프레임)으로 쓰면 앞으로 상당히 전진하므로 추가타에 쓰기 좋다. 이 때 D→B든 B→D든 전진 거리는 크게 차이 나지 않기 때문에 버튼 입력하기 편한 쪽으로 고르자.
이후, 2D 공캔으로 한 번 더 전진해서, 테르미도르 이후 추가타가 안정적으로 들어간다. 다만 EX 제르미날이 끄트머리에서 닿았을 경우 콤보가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강 니보즈 이후 추가타나 아래의 루트로 바꿔 나가자.
루트 3-2 : 위치 무관 / 4.6 게이지 / 데미지 1023
(공중 히트)약 제르미날>EX 제르미날(노멀 딜레이 EX 버전)>(끌어당기기)6D [캔슬] MAX 발동>강 제르미날>6D [캔슬] 플뤼비오즈 [캔슬] 상퀼로트~(루트 ⑤)~ [캔슬] 테르미도르>강 방토즈×3>4D>플뤼비오즈
약 제르미날이 공중 히트한 뒤 쓸 수 있는 고 데미지 콤보. 카운터 시동이라면 절명도 가능하다. 6D [캔슬] 플뤼비오즈는 236+D>236+D로 복합 입력하여 최속으로 사용하자.
루트 4-1 : 20칸 / 4.6 게이지 / 데미지 884
플뤼비오즈 [캔슬] 상퀼로트(루트 ①)~ [캔슬] 테르미도르>강 방토즈×3>(끌어당기기)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6D>플뤼비오즈
무적 성능이 있는 플뤼비오즈가 포함된 루트. 후반부 루트는 상대를 스테이지 절반 정도에서 구석까지 몰고갈 수 있다. 이 콤보로도 구석까지 가지 않을 경우, 아래 루트나 상퀼로 대공을 노려보자.
루트 4-2 : 위치 무관 / 4.7 게이지 / 데미지 842
플뤼비오즈 [캔슬] 상퀼로트(루트 ④)~ 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약 니보즈(1타째) [캔슬] 테르미도르>강 제르미날>4D>6D [캔슬] 플뤼비오즈
위의 콤보보다 데미지는 낮지만 어느 위치에서든 구석까지 몰고갈 수 있는 것이 장점. 구석에 몰려 있을 때는 입력이 가능하다면 상퀼로트로 바꿔나가는 편이 더 고데미지를 노릴 수 있는 길이다.
루트 5: 중앙 근처/구석을 등지고 있을 때 / 5게이지 / 데미지 904
상퀼로트~(루트 ①/③)~>(끌어당기기)4D>EX 제르미날>강 방토즈>4D>6D [캔슬] MAX 발동>약 방토즈 [캔슬] 테르미도르>강 방토즈>강 방토즈>강 니보즈(1타째) [캔슬] (CLIMAX)에스푸아르
상퀼로트 대공 시동으로 노릴 수 있는 콤보. 루트 1이나 루트 3이 주력으로, 루트 2나 루트4는 히트시 높이,거리에 따라 나눌 수 있으면 베스트지만 귀찮아서 루트 1/루트 3만 설명한다. 콤보는 적당히 타협하거나 CLIMAX 초필살기가 필요한 유일한 콤보다. MAX 발동 이후, 약 방토즈 [캔슬] 테르미도르는 최속으로 이어나가자.
파생되는 루트는 서로 공유를 안햇음에도 똑같은 콤보로 결론나는구만... 참고로 첫번째 영상에서 구석으로 몰고간 이후 3장풍 들어가는 루트는 안토 공룡 맥시마에게는 높이가 달라 통하지 않고, 마지막 구석루트는 안토 공룡 맥시마 이외에도 덩치작은 캐릭에게는 타이밍이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