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아내는 게임에서 선택지가 나올 때마다 완전히 얼어버려요.
우리 처음으로 같이 한 어드벤처 게임이 저니였는데, 그 이후로는 모든 어드벤처 게임에서 최고의 결과를 얻으려고 애쓰면서 허둥대기 시작했어요. 폴아웃 3, 뉴 베가스, 아우터 와일즈, 위쳐, 파이널 판타지 XV 등등…
심지어 할로우 나이트조차도 그녀를 패닉 상태로 몰아넣었어요. 선택을 내려야 하는 게임을 아예 못 해요.
발더스 게이트 3? 아직도 1막을 못 벗어났어요. 모든 동료를 살리는 방법을 모르겠다고요.
이 사람이 게임을 안 해본 것도 아니에요. 저보다 경력이 훨씬 많아요.
그런데 이제는 같이 게임을 할 수가 없어요, 왜냐하면 뭔가를 망칠 수도 있거든요…
(수정) 몇몇 사람들이 이 글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는데, 우리 여전히 같이 게임해요. 그냥 과장해서 쓴 거예요. 아니, 포털 러너도 깰 수 있는 사람이라고요. 단순히 게임 속 선택에 대한 얘기를 재미있게 해보려던 거예요.
요즘 게임에서 선택을 내리는 게 진짜 고역이에요! 특정 콘텐츠에 잠기거나(혹은 배제되거나), 아니면 같은 걸 다시 플레이해야 하죠. 거기에 나이 들면서 시간이 부족해지는 문제까지 겹치면…
네, 아내가 허둥대긴 하지만, 무슨 상담이 필요하다거나 이상한 사람이라는 소리는 너무 나간 거 아닌가요? ㅋㅋ
게임에서 선택을 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요.
---
세이브 스컴(Save Scum)은 게임에서 중요한 선택을 하기 전에 세이브를 해두고,
결과가 마음에 안 들면 다시 로드해서 반복하는 행위
한국어 표현으로는 세이브로드=세로신공
아내분은 게임에서 "최적의 결과" 를 원하다 보니,
세이브 스컴(save scumming)이나 공략 보는 습관을 들이는 게 필요할 것 같네요.
근데 사실 게임은 실수하면서 배워가는 것도 재미의 일부잖아요. 그 과정도 여행의 일부라고 볼 수 있고요.
-
저도 이 말에 완전 공감해요. 평생 게임 최적화에 집착하는 만성 세이브 스컴러입니다.
게임에서 뭔가 놓치는 걸 못 참는 타입이죠.
예를 들면, 페르소나 5를 90시간이나 했는데, 모든 커뮤(Confidant)를 최대로 못 올릴 거라는 걸 깨닫고 그대로 때려쳤어요. 처음부터 다시 하고 싶진 않았거든요. ㅋㅋ
-
위쳐 3에서도, 궨트 카드 한 장을 놓쳤어요.
선택 안 했던 사이드 퀘스트가 또 다른 퀘스트로 이어지면서 얻을 수 있는 카드였거든요.
근데 문제는… 이미 30시간 넘게 모든 카드 수집하느라 달려왔다는 거죠. 그때 깨달았어요. 😭
-
궨트를 안 한 이유는, 공략을 확인했을 때 일부 카드가 스토리 진행에 따라 놓칠 수 있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그냥 궨트 자체를 가능한 한 피했어요.
만약 궨트를 했다가 카드 몇 장을 놓쳤다는 걸 알게 되면, 후회하면서 게임 자체를 접어버릴 것 같았거든요.
반대로, 카드가 놓칠 수 없는 요소였다면 궨트를 즐기면서 여기저기서 다 했을 거예요.
-
"브로들끼리 막 하기" – 이 말이 진짜 내 BG3 코옵 플레이를 완벽하게 설명해줌. ㅋㅋㅋㅋ

아내분이 완벽주의자인가요?
-
네
-
많은 사람들이 아내분을 바꾸라고 조언하는 것 같은데,
사실 중요한 건 아내분에게 더 잘 맞는 게임을 찾아주는 게 아닐까요?
게임은 즐기려고 하는 거지, 스트레스받으려고 하는 게 아니니까요.
만약 선택지가 많은 게임에서 재미를 못 느낀다면, 다른 종류의 게임을 하면 되죠.
미니맥스(min-max) 는 게임에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캐릭터를 키우거나 플레이하는 전략


아내분도 이런 시각으로 접근하면, 선택의 부담이 줄어들고 오히려 즐거움을 느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이 선택은 결과를 초래할 것입니다..."
아내분한테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추천해 주세요.
-
이게 소울본 같은 게임이랑 차이점이었어요.

시간이 적던가 할겜이 많은데 가끔보면 잘못된 선택 한번에
손해보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은 느낌이있음
그래서 무개념 세이브 한번 만나면 의욕이 싹 사라짐